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단위 부피당 수증기의 질량을 말합니다. 절대습도는 입방체 미터당 그램의 단위 또는 입방체 피트당 파운드를 사용합니다.
이 값은 대기압에 따라 변하므로 공학적인 분야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줄여서 RH로 표시하며, 임의의 온도에서 공기의 실제 증기압 값에 동일한 온도에서의 최대 증기압 값을 백분율한 것이며(100×수증기의 부분압력/수증기의 포화압력) 단위는 %를 사용합니다.
끓는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수압이 폐공간 내에서 모든 다른 가스의 압력을 대체하기 때문에 대기압은 수분의 증기압과 같게 됩니다.
따라서 100℃ 이상의 온도에서 상대습도는 100%를 넘을 수 없기 때문에 포화압력은 대기압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대기압 하에서 100℃ 온도에서는 상대습도가 100%가 되고, 200℃에서는 오직 6%가 됩니다.
수증기의 압력이 최대가 되거나 또는 포화된 증기 상태일 때의 온도입니다.
다른 표현으로 가스-수증기의 혼합물이 일정 압력 하에서 냉각을 시킬 때 성에 또는 얼음이 생성되는 온도로 정의됩니다.
즉 이슬점은 상대습도가 100%가 되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온도를 이슬점까지 낮추게 되면, 공기는 포화되어 안개, 이슬 또는 성에가 생깁니다.
당사의 습도센서의 경우 “전기 용량식 습도계”이며 현재 온도의 최대수증기량 대비 현재 공기중의 수증기량을 표현하는 상대습도를 통해 습도를 측정하며 사용단위는 %RH 입니다.
물 분자가 흡수되면서 바뀌는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온도 측정이 가능한 온습도계로 많이 사용합니다.
· 직접 측정 | · 포화에 의한 방법 | · 노점 습도계 | · 노점의 측정 |
· 연화리튬노점 습도계 | · 변이점 온도측정 | ||
· 흡수에 의한 방법 | · 부피식 습도계 | · 수중기 부피의 측정 | |
· 전기분해식 습도계 | · 흡수된 물의 잔해전류 측정 | ||
· 중량식 습도계 | · 흡착계의 무게변화 측정 | ||
· 증발에 의한 방법 | · 견습구 습도계 | · 증발에 의한 냉각의 측정 | |
· 간접측정 | · 수분흡착에 의한 방법 | · 모발 습도계 | · 모발의 길이변화 측정 |
· 탄소피막 습도계 | · 전기전도도의 변화측정 | ||
· 전기저항식 습도계 | · 표면전도도의 변화측정 | ||
· 탄소피막 습도계 | · 전기전도도의 변화측정 | ||
· 색 습도계 | · 변색의 측정 | ||
· 분광학적 방법 | · 근적외선 습도계 | · 근적외선 흡수의 측정 | |
· 기타 방법 | · 마이크로파 습도계 | · 유전성의 측정 | |
· 확산식 습도계 | · 확산속도 차에 의한 압력차 | ||
· 방전식 습도계 습도계 | · 이온화 전위의 변화측정 |